네트워크4 DNS Round Robin 라운드 로빈 DNS란 ? 별도의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 로드밸런싱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DNS만을 이용하여 도메인 레코드 정보는 조회하는 시점에서 트래픽을 분산하는 기법이다. 로드밸런싱은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중 하나로 중앙처리장치, 저장장치와 같은 컴퓨터 자원들에게 작업을 나누는 기술이다. 즉, 서버에 가해지는 부하를 분산 해주는 장치 혹은 기술이다. DNS(Domain Name System)란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도메인 이름(예: www.naver.com) 을 머신이 읽을 수 있는 IP 주소로 변환하는 것 라운드 로빈 DNS의 원리 웹 서버로 예를 들면, 웹 서비스를 담당할 여러 대의 웹 서버는 자신의 공인 IP를 각각 가지고 있다. 웹 사이트에 접속을 원하는 사용자가 해당 도메인 주소를 브라우저에.. 2021. 4. 18. HTTP, HTTPS, HTTP2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이란? 텍스트 기반의 통신 규약으로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HTTP 특징 HTTP 메시지는 HTTP 서버와 HTTP 클라이언트에 의해 해석이 된다. TCP/IP를 이용하는 응용 프로토콜이다. HTTP는 연결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비연결성 프로토콜이다. HTTP는 연결을 유지하지 않는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요청/응답 방식으로 동작한다. HTTP 동작 방식 클라이언트 즉, 사용자가 브라우저를 통해서 어떠한 서비스를 url을 통하거나 다른 것을 통해서 요청(reuqest)하면 서버는 해당 요청사항에 맞는 결과를 찾아서 사용자에게 응답(response)하는 형태로 동작한다. 요청 : Client -> Server 응답 : S.. 2021. 4. 18. UDP 란 무엇인가 UDP(User Datagram Protocol) 란? UDP는 비연결형, 신뢰성 없는 전송 프로토콜이라고 한다. TCP와는 다르게 데이터를 패킷으로 나누고 반대편에서 재조립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으며 수신지에서 제대로 받던 받지 않던 상관안하고 데이터를 보내기만 한다. UDP의 특징/사용처 실시간(Real-time) 제약 조건이 거의 없고 TCP에 비해 매우 빨라, 실시간 전송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 많이 사용된다. * 사용처 : 인터넷 전화, 스트리밍 등등 간단한 트랜잭션(Simple Transcations) 같은 전송 계층인 프로토콜 TCP와 비교하자면, TCP는 Setup과 종료, Ack가 필수이기 때문에 복잡한 transaction이 요구된다. 하지만 UDP는 필요없다. * 사용처 : DNS(반드.. 2021. 4. 18. TCP 란 무엇인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란?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에 데이터를 신뢰성 있게 전달하기 위해 만들어진 프로토콜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연결을 만드는 연결지향 프로토콜 데이터는 네트워크선로를 통해 전달되는 과정에서 손실되거나 순서가 뒤바뀌어서 전달될 수 있는데, TCP는 손실을 검색해내서, 이를 교정하고 순서를 재조립할 수 있도록 해준다. TCP는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더하기 위해서 데이터를 세그먼트 단위로 분할하고, 전송 속도를 조절하며, 데이터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을 경우 재전송을 한다. TCP의 세그먼트는 데이터 본채에 TCP헤더가 붙은 형대로 구성되어 있다. TCP 통신은 커넥션을 맺는 단계는 3단계로 진행되며 이를 3방향 핸드셰이크라고 부른다... 2021. 4. 1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