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DNS Round Robin

by 앙헬디마리아 2021. 4. 18.
728x90

라운드 로빈 DNS란 ?

 

별도의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 로드밸런싱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DNS만을 이용하여 도메인 레코드 정보는 조회하는 시점에서 트래픽을 분산하는 기법이다.

 

로드밸런싱은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중 하나로 중앙처리장치, 저장장치와 같은 컴퓨터 자원들에게 작업을 나누는 기술이다. 즉, 서버에 가해지는 부하를 분산 해주는 장치 혹은 기술이다.

 

DNS(Domain Name System)란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도메인 이름(예: www.naver.com) 을 머신이 읽을 수 있는 IP 주소로 변환하는 것 

 

 

라운드 로빈 DNS의 원리

 

웹 서버로 예를 들면, 웹 서비스를 담당할 여러 대의 웹 서버는 자신의 공인 IP를 각각 가지고 있다.

웹 사이트에 접속을 원하는 사용자가 해당 도메인 주소를 브라우저에 입력하면, DNS는 도메인의 정보를 조회하는데, 이 때 IP 주소를 여러대의 서버 IP 리스트 중에서 라운드 로빈 형태로 랜덤하게 하나 혹은 여러개를 선택하여 다시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결과 적으로 웹 사이트에 접속하는 다수의 사용자는 실제로는 복수의 웹 서버에 나뉘어 접속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서버의 부하가 분산되는 방식이다.

 

라운드 로빈 DNS를 이용한 로드 밸런싱

 

라운드 로빈 DNS는 지리적으로 복수의 웹 서버가 멀리 떨어져 있어서 실시간으로 헬스 체크가 어려울 때 사용한다.

장점으로는 비용적인 부담이 적다는 것과 중간의 장비 없이도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것이 있다.

 

일반적인 로드밸런싱은 뒤 단에 있는 백엔드 서버들의 헬스 체크정보를 수반하지만, 라운드 로빈 DNS는 로드밸런싱 기능이 없기에 별도의 헬스 체크가 없다. 따라서, 특정 웹 서버에 문제가 생겨 서비스가 불가한 상태라 하더라도, DNS는 이를 알 방법이 없고, 해당 서버의 공인 IP를 도메인 조회 결과에 포함시키기 때문에 HA(High Availability)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그 밖에 서버의 수 만큼 공인 IP 주소가 필요하며, 균등하게 분산되지 않는 단점도 존재한다.

 

 

 

 

참조


m.blog.naver.com/sehyunfa/221691155719

dailusia.blog.fc2.com/blog-entry-362.html

728x90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 HTTPS, HTTP2  (0) 2021.04.18
UDP 란 무엇인가  (0) 2021.04.18
TCP 란 무엇인가  (0) 2021.04.18